지난해 11월 기록적인 폭설로 경기 남부지역 농업시설 피해가 광범위하게 발생한 가운데 안성지역에서는 지역농협 공동육묘장에도 큰 피해가 발생, 해당 농협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자칫 올해 벼농사에 차질이 발생할 수도 있어 복구를 서두르고 있지만 농가 시설하우스와 달리 생산자단체 시설하우스는 정부의 재해복구 지원 대상이 아니어서 비용을 고스란히 지역농협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개농협(조합장 김학범)은 보개면 적가리 일대 시설하우스 30동, 1만2294㎡(4021평) 규모의 공동육묘장이 폭설로 모두 무너지는 피해를 봤다. 2012년 3동짜리 연동하우스를 2곳에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2016년과 2019년 인근 2곳에 추가 설치해 4곳으로 나눠져 있는데 4곳 중 1곳도 이번 눈 피해를 피하지 못했다. 인근 죽산농협(조합장 송태영)도 6연동 3966㎡(1200평) 규모의 공동육묘장이 폭설로 전파됐다.
공동육묘장은 농가에 모판을 공급하는 중요한 시설이다. 특히 농촌 고령화와 부녀화가 가속화되면서 육묘 수요는 해마다 늘고 있다. 보개농협 공동육묘장은 매년 7만여장의 모판을 생산해 300∼500농가에 공급하고 있으며, 죽산농협은 4만여장의 모판을 생산해 250여농가의 벼농사를 책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올해 벼농사에 차질을 빚지 않으려면 3월 중순까지 공동육묘장 복구를 끝내야 한다고 농협들은 말한다. 보개농협은 지난해 12월 무너진 공동육묘장을 모두 철거하고 이달 13일부터 다시 짓는 공사에 들어갔다. 죽산농협은 이달 중 공사업체 선정을 마무리하고 2월부터 공사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문제는 비용이다. 공동육묘장이 농가에 중요한 농업시설임에도 재해복구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전혀 지원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어서 지역농협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특히 안성지역은 정부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지만 폭설로 붕괴된 농협 공동육묘장에는 철거비도 지원되지 않는다.
또한 두 농협 모두 공동육묘장에 풍수해보험을 들었지만 보험금이 공동육묘장을 새로 짓는 데 필요한 비용에 턱없이 미치지 못한다. 더욱이 최근 경기 남부지역의 광범위한 폭설 피해로 새로 시설하우스를 짓는 데 필요한 비용이 크게 올라 보험금을 받더라도 추가 부담이 만만치 않다고 한다.
정해조 보개농협 상무는 “공동육묘장 풍수해보험금으로 2억원가량이 나올 예정인데, 새로 짓는 데는 8억∼9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죽산농협 관계자는 “무너진 공동육묘장에서 지주 파이프 등 일부 자재를 재활용해 다시 지으려는데도 풍수해보험금으로는 전체 비용의 절반도 충당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에 이들 농협에서는 공동육묘장이 농민들을 위한 공공시설 성격이 강한 만큼 정부의 피해복구 대상에 포함해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김학범 조합장은 “공동육묘장은 지역농협이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 아니라 농가들의 영농활동을 지원하는 필수시설”이라며 “농협 같은 생산자단체가 운영하는 공공성이 강한 시설은 정부가 피해복구를 지원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