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이 통과되고 있다. 연합뉴스산불 피해 복구와 미국발 통상 리스크 대응 예산 등이 포함된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기존 정부 제출안보다 1조6000억원이 늘어난 13조8000억원 규모다.
국회는 1일 본회의를 열어 이같은 ‘2025년 추경안’을 의결했다. 정부가 추경안을 제출한 지 11일 만으로, 최근 20년간 가장 빠른 속도로 처리됐다. 산불·통상·민생 등 시급한 현안에 적기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 영향을 끼쳤다.
이날 국회를 통과한 추경안은 국회 심의 과정에서 1조6000억원 증액됐다. 재해·재난 대응 예산 1000억원, 통상·인공지능(AI) 경쟁력 제고 1000억원, 민생지원 8000억원, 건설경기 보강 8000억원 등 1조8000억원을 증액하고 일부 융자사업 조정을 통해 2000억원을 감액했다. 이에 따라 총 추경규모는 기존 12조2000억원에서 13조8000억원으로 확대됐다.
농업분야 예산은 기존 추경안에 포함된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공공배달앱 할인 지원사업’과 ‘농축산물 할인 지원사업’ 예산 1150억원 외에 979억원이 추가로 반영됐다.
구체적으로 농가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무기질비료 구입비 보조 지원 사업비 255억원이 편성됐다. 산불 피해 농민의 영농 재개를 위한 임대사업소의 임대농기계(444대) 구입 지원사업비 24억원과 송이버섯 대체작물 생산기반시설 조성 예산 59억원도 포함됐다.
특히 기후변화 등에 따른 수급불안에 대비하기 위해 농축산물 할인 지원사업 예산은 국회 심의단계에서 700억원이 추가돼 최종 1200억원이 반영됐다.
정부는 2일 국무회의를 개최해 이번 국회에서 통과된 추경안의 국회 증액에 대한 동의와 배정계획안을 상정·의결할 계획이다. 확정된 예산은 연내 신속하게 집행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