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5억원, 연 1.5% 저리 지원 2차 추경 반영…예산 추가 확보 이번 증액 수혜자 1500명 추산 전체 융자규모 1조3500억원 

“후계농 육성자금 선발에서 탈락해 올해 영농계획이 모두 물거품이 될 뻔했는데 다행히 추가로 선정돼 새로운 시작을 꿈꾸게 됐습니다.” 강원 영월의 청년농 박정주씨(19)는 6월 ‘2025년 후계농업경영인 선발 및 지원사업’ 대상에서 탈락했던 때를 떠올리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청년농·후계농들은 이 사업을 통해 최대 5억원의 자금을 연 1.5%의 낮은 금리로 지원받을 수 있다. 박씨는 부모님의 사과·콩 농사를 돕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농업에 뛰어들기 위해 사업에 지원했다. 토마토 스마트팜을 짓기 위한 농지 매입비와 시설 투자비 등 4억7000만원의 후계농 육성자금을 신청했지만 아쉽게도 선발 대상에 들지 못했다. 하지만 기회는 곧 다시 찾아왔다. 이달 4일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후계농 육성자금 이차보전 지원예산이 대폭 늘어난 덕에 추가 선발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박씨는 “선발에서 탈락했을 때 앞길이 막막했는데, 추가 선발로 농업으로 진로를 확정 지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충북 옥천의 청년농 손유정씨(33)도 비슷한 사례다. 벼농사를 짓기 위한 농지 매입비와 쌀 가공시설 투자비 등 후계농 육성자금 1억원을 신청했으나 올해 선발에서 탈락했다. 하지만 추경안 통과 이후 추가 대상자로 선정되면서 꿈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됐다. 손씨는 “후계농 자금은 금리 부담이 낮기 때문에 영농활동에 더욱 전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박씨와 손씨처럼 후계농 육성자금 예산 확대의 수혜를 보게 될 청년농은 1500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추경 편성으로 증액된 후계농 육성자금 이차보전 예산은 6억원으로, 융자규모로 따지면 3000억원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1월에도 자체 이차보전사업 내역 조정을 통해 후계농 육성자금 융자규모를 4500억원 증액한 바 있다. 두차례의 예산 증액을 통해 올해 사업의 전체 융자규모는 1조3500억원으로 훌쩍 뛰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로, 지난해(8000억원)보다 68.75% 늘어난 수치다. 농식품부는 올해 과감한 예산 확대가 이뤄진 만큼 당초 우려됐던 자금 조기 소진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민경 농식품부 청년농육성정책팀장은 “앞으로도 준비되고 역량 있는 청년농들이 필요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지원받도록 세심하게 뒷받침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농업계에선 이번 예산 확보가 청년농·후계농의 안정적 정착을 지지하려는 정부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평가했다. 다만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질적 성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라고 조언했다. 최범진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정책조정실장은 “그동안은 선발 인원을 대폭 늘리는 양적 성장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정예화를 목표로 영농인턴제 등 사전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후계·청년농을 육성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