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농업뉴스

농민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농촌사회 건설을 위해 농촌복지 향상에 총력을 경주하고, 농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킨다.

(농민신문)고정직불화·역진적 단가체계 도입…“예산확대 없는 개편, 공허한 메아리”

작성자
hannong
작성일
2018-10-29 10:34
조회
1052
[기획] 대변혁기 맞은 쌀 정책 (중)정부의 직불제 개편안

농식품부, 개편안 뼈대 밝혀 재배작물에 상관없이 면적당 일정액 지급…작목전환 유도

6㏊ 미만 단가 더 높게 책정

예산확대 전제로 논의돼야



한국 농정의 최대 난제로 꼽히는 쌀 직불제 개편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17일 개편 시나리오를 내놓은 데 이어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도 30일 쌀을 포함한 전체 직불제 개편방향과 실행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 직불제 개편의 파급력을 감안해 민관 협의기구 구성을 고려 중이며, 정치권도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있다. 여기에 쌀 변동직불금 산정 기준인 목표가격 변경시한이 한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쌀 직불제 개편방향을 둘러싼 이해당사자간 신경전도 서서히 달아오르고 있다.

쌀 직불제 개편의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제기돼왔다. 쌀 수급균형 회복과 농가소득 안정 도모가 그것이다. 여기엔 직불금 지원이 쌀과 대농에 편중됐다는 문제의식이 깔려 있다.

정부도 이를 완화하는 데 역점을 두고 개편안을 마련 중이다. 농식품부는 10일 국회 국정감사 업무보고에서 ▲쌀 변동직불금의 고정직불화 ▲역진적 단가체계 도입 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아주 단순해 보이지만, 폭발적인 내용이 곳곳에 숨어 있다.

쌀 직불제는 공익적 성격의 고정직불제와 소득보전 차원의 변동직불제로 나뉜다. 고정직불금은 재배작목과 관계없이 논의 형상을 유지하면 되지만, 변동형은 반드시 벼를 재배해야 수급자격이 주어진다.

농식품부는 변동직불금을 고정직불금에 흡수하고(고정직불화), 장기적으로는 쌀 직불제를 밭 직불제와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논에 벼를 심든 콩을 심든 면적당 일정액을 지급함으로써 쌀농가의 작목전환을 유도한다는 포석이다.

역진적 단가체계는 면적이 넓을수록 단가를 낮추는 방식이다. 농경연은 6㏊ 미만의 단가를 6㏊ 이상보다 높게 책정하자고 제안했다. 농식품부는 여기에 0.5㏊ 미만 영세농에게는 면적과 관계없이 가구당 일정액을 지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면적이 아니라 농가단위의 단가 책정이란 점이 눈에 띈다.

변동직불금의 고정직불화는 언뜻 보면 쉬운 정책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실행에 앞서 검토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 우선 고정직불화는 쌀 목표가격의 폐지를 의미한다. 쌀값과 관계없이 면적당 일정액을 주기 때문에 목표가격이 필요 없는 것이다. 1950~2004년의 추곡수매가, 2005년 이후의 쌀 목표가격 등 정부가 제시하던 기준가격이 사라짐을 의미한다. 자칫 ‘정부가 쌀값 문제에서 손을 뗐다’는 의미로 읽힐 수 있는 대목이다.

게다가 쌀값이 폭락했을 때 농가 조수입도 그만큼 줄 위험이 있다.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변동직불제 폐지는 ‘자동 시장격리제’와 같은 쌀값 폭락방지 대책이 없으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며 “(변동직불제를 고정직불화하면) 목표가격 재설정을 둘러싼 갈등요소가 사라지겠지만, 고정직불금 인상폭과 단가 변경주기 등 새로운 갈등요소가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역진적 단가체계는 대농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 직불금 총액이 늘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영세농을 우대하면 그만큼 대농에게 돌아갈 몫이 줄 수밖에 없다. 단가 변경과정에서 대농이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쌀 직불금 총액이 기존보다 연평균 3000억~4000억원 늘어야 한다. 이만희 자유한국당 의원(경북 영천·청도)은 “예산확대가 보장되지 않은 직불제 개편은 공허한 메아리이고, 희망고문에 불과하다”며 “직불제 예산확대를 전제로 관련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농업경영인경기도연합회를 후원해 주시는 회원사 여러분의 소중한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