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농업뉴스

농민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농촌사회 건설을 위해 농촌복지 향상에 총력을 경주하고, 농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킨다.

(농민신문)극단으로 치닫는 농촌 빈부격차

작성자
hannong
작성일
2018-04-02 15:00
조회
1032

상·하위 농가 소득차 ‘11배’ 규모화 정책·고령화 탓

양극화 추세 갈수록 심화 도농간 차이도 점점 벌어져
농가간 소득 양극화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또 농가소득이 정체되면서 도농간 소득격차 역시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농가소득 5분위 배율’은 11.3배로 나타났다<그래프 참조>. 잘사는 상위 20% 농가와 못사는 하위 20% 농가의 소득격차가 11.3배 벌어졌다는 의미다. 11년 전인 2005년 5분위 배율은 9.6배였다. 부유한 농가는 더 부유해지고, 가난한 농가는 더 가난해지는 추세가 굳어지고 있는 것이다.

농촌 빈부격차가 심화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하위 20%인 1분위 농가의 소득이 늘지 않기 때문이다. 2016년 이들 농가의 연간소득은 787만1000원에 그쳤다. 월평균으로는 65만6000원 수준이다. 2016년 기준 2인가구 최저생계비인 110만7000원의 절반 밖에 안되는 금액이다.

농촌 고령화도 농가소득 양극화를 촉진하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을 뜻하는 고령화율은 2016년 기준 농촌이 40.3%로 우리나라 전체 평균 13.2%보다 3배 이상 높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연령대별 농가소득은 39세 이하가 7755만2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70대 이상은 2447만6000원에 그쳤다.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도 심각하다. 도시근로자가구 대비 농가소득 비율은 1990년 97.2%에서 2000년엔 80.5%로 떨어졌고, 2016년엔 63.5%로 주저앉았다. 농축산물 시장개방이 확대되면서 농가소득은 10년 넘게 3000만원대 박스권을 맴돌고 있다. 머지않아 농가소득이 도시가구의 절반에 그칠 것이란 분석도 있다.

농경연 관계자는 “중대농 위주의 규모화 정책, 고령농 증가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리면서 농가소득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며 “중소농 맞춤형 영농 지원, 농촌형 노인 일자리 확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현실화 같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상영 기자

한국농업경영인경기도연합회를 후원해 주시는 회원사 여러분의 소중한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