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농업뉴스

농민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농촌사회 건설을 위해 농촌복지 향상에 총력을 경주하고, 농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킨다.

(뉴시스)귀농 1년차 연소득 2828만원..5년 지나도 평균 이하

작성자
hannong
작성일
2020-02-26 16:56
조회
175




농식품부, 2014~2018년 귀농·귀촌 실태 조사 결과 발표
귀농 가구 48.6%, 직장 취업 등 농업 외 경제 활동 수행
귀농 후 월평균 201만원 생활비 지출..귀촌은 213만원
열 중 여섯은 생활 만족..문화·체육 서비스 등은 확충 필요
연고 있는 농촌으로 귀농·귀촌한 경우 전체의 84% 차지




【서울=뉴시스】고승민 기자 = 2017년 7월17일 오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귀농귀촌 체험학습 박람회를 찾은 시민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2017.08.17. kkssmm99@newsis.com

[세종=뉴시스] 장서우 기자 = 도시에서 살다 농촌으로 귀농한 경우 첫해에는 가구당 3000만원에 조금 못 미치는 연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 후 5년이 지나도 이들의 소득은 평균 가구 소득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

귀농 가구의 절반가량은 다른 직장에 취업하거나 임시직, 창업 등으로 소득을 보전하고 있었다. 열 중 여섯은 귀농·귀촌 후의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답했다.귀농·귀촌한 이들의 84% 가량은 연고가 있는 곳에 정착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5년(2014~2018년)간 귀농·귀촌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귀농 1년 차 가구 소득은 2828만원으로 조사됐다. 2년 차에는 3257만원, 3년 차는 3303만원, 4년 차에는 3794만원, 5년 차 때는 3895만원으로 올라갔지만, 귀농 전 평균 가구 소득(4400만원)에는 미치지 못했다. 5년차 때 소득은 귀농 전 평균 소득의 88.5% 수준이었다.

이런 사정으로 귀농 가구의 경우 절반가량인 48.6%가 농업 외 경제 활동을 수행하고 있었다. 직장에 취업한 경우가 24.6%로 가장 많았고, 농산물이나 가공식품을 직접 판매하는 경우(23.8%), 임시직 종사(21.9%), 자영업(17.9%), 비농업 부문 일용직 종사(12.7%), 농업 임금 노동(10.0%) 등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귀촌한 가구의 경우 1년 차에 3279만원, 2년 차에 3606만원, 3년 차에 3635만원, 4년 차에 4058만원, 5년 차에 4200만원을 벌어들여 4년 만에 귀촌 전 평균 소득(4058만원)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생활비는 귀농 전 282만원에서 귀농 후 201만원으로 낮아졌다. 귀촌 가구의 경우 259만원에서 213만원으로 내려간다. 생활비는 식비(귀농 38.6%·귀촌 51.9%)에 가장 많이 쓰였다. 이밖에 주거·광열·수도·전기(20.3%·16.9%), 교통·통신비(13.7%·6.3%), 교육비(10.9%·12.3%), 건강·의료소비(9.8%·4.7%), 문화·여가생활비(4.5%·7.0%) 등 순서로 지출이 많았다.

귀농 가구 중 57.8%가 귀농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답했다. 귀촌 가구 중에선 67.0%가 이렇게 답했다. 귀농 가구 34.9%, 귀촌 가구 30.5%는 만족도를 보통으로 매겼다.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귀농 7.3%, 귀촌 2.6%였다. 불만족의 이유로는 귀농은 영농 기술과 경험 부족(28.5%), 자금 부족(27.8%) 등을, 귀촌은 자금 부족(43.3%), 영농 기술과 경험 부족(30.0%) 등을 꼽았다.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귀농 가구 27.3%, 귀촌 가구 41.7%가 정보 획득의 어려움을 꼽았다. 귀농·귀촌 가구의 56.8%, 60.7%가 가족이나 지인을 통해 정보를 획득한다고 답했다.

확충이 필요한 공공 서비스로는 귀농 가구에선 문화·체육 서비스(27.5%), 취약 계층 일자리 지원(23.6%), 노인 돌봄 종합 서비스(16.2%), 교통 서비스(12.1%), 교육 서비스(5.7%), 임신·출산·양육 지원(5.7%), 가사·간병 서비스(4.8%) 등이 꼽혔다.

귀농 후에는 86.0%가 농가 주택을 포함한 단독 주택에서 살았다. 아파트나 연립 주택에서 사는 비율은 9.3%에 불과했다. 귀촌 가구의 경우 주택 거주 비율이 53.0%, 아파트·연립 주택 거주 비율이 44.0%로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귀농 가구는 75.6%가 자가였고, 전·월세는 17.5%였다. 귀촌 가구는 각각 59.5%, 35.5%로 집계됐다. 마을 내 빈집을 활용하거나 귀농인의 집에 임시 거주하는 등 정부 지원 정책을 활용한 경우는 귀농에서 4.4%, 귀촌에서 3.0%로 각각 나타났다.

10가구 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귀농·귀촌 경험이 있는 경우에 해당했다.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돌아간 경우(U턴형)가 귀농 54.4%, 귀촌 29.5%로 가장 많았다. 농촌에서 태어났지만, 연고가 없는 곳으로 이주한 경우(J턴형)도 귀농 21.5%, 귀촌 27.7%로 꽤 있었다. 도시에서 태어났지만,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간 경우(I형)는 귀농 7.4%, 귀촌 10.8%로 조사됐다.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경우가 31.9%였다.

귀농 준비에는 평균 25.1개월이 소요됐다. 30대 이하 청년층에서 17.0개월로 비교적 짧았고, 40대 20.2개월, 50~60대 27.8개월, 70대 이상 26.2개월 등으로 조사됐다.

준비 기간에는 40.7%가 정착할 지역을 탐색한다고 답했다. 주거 공간과 농지를 탐색한다고 답한 비율도 32.5%였다. 온·오프라인이나 선도 농가 인턴십 등을 통해 교육을 수행하는 경우도 12.8%였다. 귀농 가구 중에선 59.9%, 귀촌 가구 중에선 21.1%가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비율은 30대 이하에선 24.4%로 낮았지만, 40대(31.5%), 50~60대(42.8%), 70대 이상(66.4%) 등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커졌다.

이번 조사는 농식품부가 한국 갤럽에 의뢰해 지난해 11월4일부터 지난달 23일까지 4167개 귀농·귀촌 가구(귀농 2081개, 귀촌 2086개)에 대해 이뤄졌다.







한국농업경영인경기도연합회를 후원해 주시는 회원사 여러분의 소중한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