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농업뉴스

농민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농촌사회 건설을 위해 농촌복지 향상에 총력을 경주하고, 농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킨다.

(경기일보)ASFㆍ코로나에 가려졌던 AI ‘악화일로’…서민 밥상 물가 파동 ‘예고’

작성자
hannong
작성일
2021-01-21 09:23
조회
135
코로나19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가려져 상대적으로 관심 밖에 놓인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가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국민 먹거리 달걀ㆍ닭고기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서민 밥상 물가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AI로 인한 ‘달걀 파동’을 막겠다며 신선란 등 5만t에 대한 한시적 관세 면제 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국내 달걀 소비량에 비춰볼 때 소비자 부담을 덜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2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고병원성 AI로 인해 살처분된 닭은 전국적으로 1천431만7천마리(산란계 878만8천마리ㆍ육계 552만9천마리)로 집계됐다. 경기도에서는 520만2천마리(산란계 447만3천마리ㆍ육계 72만9천마리)가 살처분됐다.

산란계 한 마리가 평생(65~75주) 낳는 달걀은 300개 수준으로, 단순 계산으로만 살처분에 따라 총 26억3천640만개의 달걀 공급에 차질이 생긴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AI 확산으로 수급 불안 문제가 발생하면서 대표적인 서민 식품인 달걀과 닭고기 가격도 요동치고 있다. 달걀 소매가격(특란 30개 기준)은 지난 6일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8년 이후 처음으로 6천원을 넘어섰고, 19일 기준으로는 6천531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AI 첫 확진 농가가 나온 이후 20%가량 오른 수치다. 닭고기 가격도 지난해보다 10.6% 상승했다.

더 큰 문제는 AI의 여파가 산란계를 낳는 ‘엄마 닭’ 성격인 산란종계를 키우는 농장까지 뻗치고 있다는 것이다. 산란종계 농장들은 국내 산란계 공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들 농장에 대한 피해가 커질 시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 2016~2017년 달걀 한판당 가격이 1만원까지 치솟는 ‘달걀 파동’이 발생했을 당시에도 전국 산란종계의 50%가 살처분 돼 사태를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바 있다.

도내 산란종계 농장은 총 3곳으로, 이 중 한 곳은 이미 살처분 농가에 포함돼 살처분이 진행 중(5만마리 규모)인 상황이다. 앞서 살처분된 충남 천안의 4만마리를 포함하면 현재 국내 산란종계 60만여마리 중 15%가 사라진 셈이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선 매년 반복되는 AI 확산 문제의 해결을 위해선 살처분 등 단기 처분을 넘어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모인필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명예교수는 “단기적으로 3㎞ 내 모든 가금류 농가를 살처분 시키는 대책보다 중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 미리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며 “평소 농가들의 방역 등급을 매겨 철저하게 관리하고, 상황 발생 시 방역 등급에 따라 살처분을 하는 등 우선순위를 정해 방역을 실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이날 달걀 가격이 급등하자 신선란 등 8개 품목 5만t에 대해 오는 6월 말까지 관세를 면제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국내 연간 달걀소비량이 136억여개(달걀 한개당 50g으로 환산시 68만여t)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같은 물량은 한 달 분량에도 채 미치지 못해 수급 조절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농업경영인경기도연합회를 후원해 주시는 회원사 여러분의 소중한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