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농업뉴스

농민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농촌사회 건설을 위해 농촌복지 향상에 총력을 경주하고, 농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킨다.

(농민신문)[취재수첩] ‘기술만’ 발전하는 스마트팜에 농가 한숨 커진다

작성자
hannong
작성일
2019-04-18 16:59
조회
831
“빅데이터 이용으로 생산량이 증가해 발생할 문제점에 대한 대책이 있습니까?”

8일 전남 장성의 한 농장에서 열린 ‘딸기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기술 발전방안 현장간담회’에선 어느 농가의 이 한마디에 순간 정적이 흘렀다. 이날 간담회는 농촌진흥청이 지난 2년여 동안 국내 딸기농가로부터 모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든 생육모델을 처음 공개하는 자리였다. 간담회는 연구성과 발표에 이어 농진청장 주재 아래 참여 농가들이 겪은 어려움이나 건의사항 등 의견을 자유롭게 나누는 순으로 진행됐다. 추후 데이터의 원활한 수집 등 개선방향에 대한 이야기가 쏟아지던 와중에, 이번에 개발한 기술 자체에 대한 회의적인 목소리가 터져 나온 것이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딸기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기술은 2세대 스마트팜의 핵심이다. 지금까지 농가에 보급된 스마트팜 대부분은 작업 편의성 향상에 초점을 둔 1세대다. 1세대는 스마트폰·PC 등으로 온습도나 시설개폐를 원격으로 조정해 일손은 덜지만 농사에 필요한 의사결정은 오롯이 농민의 몫이다.

반면 2세대 스마트팜은 이러한 의사결정을 더 이상 농가의 경험이나 직감에만 맡기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전 기술과는 다른 차원이다. 다수확농가의 각종 데이터를 축적해 만든 빅데이터는 생산량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각 농장환경에 맞게 제시한다. 최종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건 여전히 농민이겠지만 생산량을 크게 늘리는 방법을 헤매지 않고 찾아낼 수 있다.

이같은 기술은 개별 농가에겐 혁명이지만, 아무런 대책 없이 보급되면 농산물 수급불안을 부추기는 골칫덩어리로 전락할 수도 있다. 문제를 제기한 농가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기술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 지적에 김경규 농진청장은 국내에 넘치는 물량을 밖으로 빼면서(수출) 생산농가의 전국적인 조직화(자조금)를 도모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생산량 과다에 대한 걱정으로 이미 개발한, 그리고 앞으로 개발할 기술을 쓰지 않을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정부의 의지와 지원이 확실하면 개발에 속도가 붙을 수 있는 영역이지만, 생산농가를 조직화하는 건 정부나 일부 농가의 의지와 설계대로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례로 조성된 지 10년이 넘은 계란자조금·닭고기자조금은 거출률이 여전히 20%대에 머물러 있고, 최근 의무자조금으로 전환된 사과·배·감귤·참다래 등 원예부문 자조금도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수출 역시 국제정세에 따른 변동성을 무시하기 어렵다.

날로 발전하는 스마트팜을 두고 농가들의 불안을 잠재우려면 기술향상만큼이나 원활한 수급조절에 대해서도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기술 발전의 속도에 맞게 재배작물의 생산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도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 이를 위해 물꼬를 터주는 일은 누구의 몫일까.
한국농업경영인경기도연합회를 후원해 주시는 회원사 여러분의 소중한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