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

농업뉴스

농민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농촌사회 건설을 위해 농촌복지 향상에 총력을 경주하고, 농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킨다.

(한국일보)귀농 늘어 농림어업 취업자 늘었다더니 통계 착시?

작성자
hannong
작성일
2019-06-28 09:29
조회
524





작년 귀농인 전년보다 9% 줄어… 귀촌도 5% 감소해 47만명

“고용참사 속 선전한 농림어업 부문” 정부 설명과 달라


귀농ㆍ귀촌 인구 추이. 그래픽=김경진 기자
도시를 떠나 시골로 내려가는 귀농ㆍ귀촌 인구가 지난해 6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고용참사 속에 작년 농림어업 일자리가 홀로 증가세를 보였는데, 적어도 귀농ㆍ귀촌 인구 덕은 아니었음이 드러난 셈이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농어업 고용 호조가 통계적 착시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ㆍ귀촌 인구는 1년 전보다 5.1% 감소한 49만330명으로 집계됐다. 2013년 42만명 수준에서 매년 증가해 2017년(51만6,817명) 처음 50만명을 돌파했는데, 지난해 다시 40만명대로 하락한 것이다. 통계상 귀농인은 도시에서 읍ㆍ면 지역으로 이주한 이들 중 농사를 짓는 사람을, 귀촌인은 읍ㆍ면으로 거주지를 옮겼지만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이들을 일컫는다.

지난해 귀농인(1만7,856명)은 전년(1만9,630명)보다 9.0% 줄며, 2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귀촌인도 47만2,474명으로 5.0% 감소하며,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 줄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비교시점인) 2017년 귀농ㆍ귀촌 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 귀농을 신중하게 준비하는 경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해석했다.

이에 따라 작년부터 지속되는 농림어업 분야 고용호조 현상의 배경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농림어업 취업자는 2017년 6,000명→2018년 6만2,000명→올해 1~5월 6만6,000명으로 증가폭을 늘리며 고용 부진 속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그간 정부는 “은퇴 후 귀농ㆍ귀촌하는 60대 이상 고령층의 현지 취업이 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해 왔다. 이른바 ‘자발적 귀농’이 늘었다는 것인데, 이번 귀농ㆍ귀촌인 감소 통계로 이런 해석이 무색해졌다.

이처럼 농촌 취업자(경제활동인구조사)와 귀농ㆍ귀촌 통계간 괴리가 발생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추정된다. 먼저 조사 방식의 차이다. 취업자는 매달 표본가구(3만5,000가구)를 대상으로 취업(일주일에 1시간 이상 일한 사람) 여부를 설문조사 하는 방식으로 집계된다.

반면 귀농ㆍ귀촌 통계는 △주민등록자료(지역) △농업ㆍ어업ㆍ축산업 등록명부 등 행정자료를 활용한다. 가령 도시에서 거주하다 근교 농촌지역에서 단기 일손이 필요할 때 ‘아르바이트’를 뛰는 이들은 농림어업 취업자에는 포함되나, 귀농ㆍ귀촌 통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동(洞)에서 읍ㆍ면으로 거주지 ‘이동’이 없기 때문이다.

또 지난해 농림어업 분야에서 늘어난 일자리의 상당수가 무급가족종사자(약 58%)라는 점도 괴리를 키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도시에서 다른 산업에 종사하던 이들이 실직 후 농어촌의 집안일을 돕는 무급가족종사자로 이동했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이들 무급가족종사자는 귀농ㆍ귀촌 통계에 잡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또 한 국책연구기관 연구원은 “농어업 취업자 상당수가 60대 이상인데 고령층 표본 자체가 작다 보니 실제 농촌 일자리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도, 취업자 지표는 크게 뛰는 통계적 착시가 나타났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귀농ㆍ귀촌 인구가 5.1% 줄고 △경지면적이 1.6% 감소(2017년 162만→160만㏊)하고 △농림어업 분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년 대비)이 1.4%에 그치는 등 전반적 환경에 변화가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이례적인 농어업 취업자 증가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세종=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한국농업경영인경기도연합회를 후원해 주시는 회원사 여러분의 소중한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